건강

수면마취와 전신마취의 차이가 무엇인가요?

MedicalHealth 2024. 7. 1. 10:59

수면마취와 전신마취는 둘 다 의료 절차 중에 통증을 없애기 위한 방법이지만, 그 방식과 깊이에 차이가 있어요.

수면마취 (Sedation)

  • 느낌: 수면마취를 받으면 졸리거나 약간 의식이 흐릿한 상태가 돼요. 절차 중에 편안하게 느껴지고, 필요하면 반응할 수 있는 정도예요.
  • 사용: 주로 대장 내시경이나 치과 치료처럼 비교적 간단한 절차에 사용돼요.
  • 호흡: 혼자서 숨 쉬는 데는 문제가 없어요.
  • 사용되는 약물: 보통 벤조디아제핀이나 프로포폴 같은 약을 써요.
  • 회복 시간: 회복이 빠르고, 끝나고 나서 금방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어요.

전신마취 (General Anesthesia)

  • 느낌: 전신마취를 받으면 완전히 잠들어서 아무것도 느끼지 못해요. 수술 중에 전혀 반응하지 않아요.
  • 사용: 주로 큰 수술이나 복잡한 절차에 사용돼요.
  • 호흡: 혼자서 숨 쉬는 게 힘들어서 기계가 대신 호흡을 도와줘요.
  • 사용되는 약물: 흡입하는 마취제나 정맥으로 넣는 마취제를 사용해요.
  • 회복 시간: 회복하는 데 시간이 좀 걸리고, 마취 후에 회복실에서 일정 시간 동안 상태를 지켜봐요.

요약하자면

  • 수면마취는 절차 중에 졸리거나 흐릿한 상태로 편안함을 느끼게 해주고, 비교적 간단한 절차에 사용돼요. 호흡도 스스로 할 수 있고, 회복도 빨라요.
  • 전신마취는 완전히 잠들어서 아무것도 느끼지 않게 해주고, 복잡하고 큰 수술에 사용돼요. 호흡을 기계가 도와줘야 하고, 회복하는 데 시간이 좀 더 걸려요.

보통 위내시경이나 대장내시경에 행해지는 것은 수면마취로 이루어지고, 출산 시 마취 방법은 수면마취와 전신마취 외에도 국소마취(예: 경막외 마취)가 많이 사용되요. 전신마취는 단기적으로 혼란이나 기억 상실을 일으킬 수 있지만,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장기적인 인지 기능 저하를 유발하지 않아요. 하지만 고령자나 이미 인지 기능이 저하된 사람들에서는 좀 더 주의가 필요할 수 있으며,  각 마취 방법은 절차의 복잡성이나 환자의 상태에 따라 결정돼요. 

반응형